2025년 9월 11일 목요일

고려왕조 계보도, 가계도, 고려 왕 계보

고려왕조 계보도, 가계도, 고려 왕 계보

고려 왕조 개요


고려(高麗, 918–1392)는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며 세운 왕조로, 약 474년 동안 한반도를 통치하였습니다. 불교를 국교로 삼아 문화적으로도 찬란한 시기를 이끌었으며, 금속활자 인쇄와 고려청자 등에서 세계적인 유산을 남겼습니다. 본 글에서는 고려 건국자인 태조 왕건부터 마지막 왕 공양왕까지, 고려의 전체 왕 계보를 시대 순으로 정리하여 제공합니다.


고려 왕 계보 연대표

제1대 태조(918–943)

  • 본명: 왕건(王建)
  • 건국자, 후삼국 통일
  • 송악(개성)을 수도로 삼고, 전국을 행정 구역으로 체계화

제2대 혜종(943–945)

  • 태조의 둘째 아들
  • 재위 기간 중 정국 혼란과 왕권 약화

제3대 정종(945–949)

  • 태조의 셋째 아들
  • 혜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름

제4대 광종(949–975)

  • 태조의 넷째 아들
  • 노비안검법 시행, 과거제 도입, 강력한 왕권 구축

제5대 경종(975–981)

  • 광종의 아들
  • 지방 세력과 대립으로 정치 불안

제6대 성종(981–997)

  • 태조의 손자
  • 유교 정치 이념을 바탕으로 중앙집권체제 확립

제7대 목종(997–1009)

  • 성종의 조카
  • 이자겸 가문과 외척의 영향력 증대

제8대 현종(1009–1031)

  • 강조의 정변으로 즉위
  • 거란의 침입 격퇴, 나주로 피난했던 역사적 사실

제9대 덕종(1031–1034)

  • 현종의 아들
  • 단명한 재위 기간

제10대 정종(1034–1046)

  • 덕종의 형제
  • 조용한 치세 유지

제11대 문종(1046–1083)

  • 정종의 동생
  • 학문과 문화 번영, 고려 전성기

제12대 순종(1083)

  • 문종의 아들
  • 재위 단 1년

제13대 선종(1083–1094)

  • 순종의 동생
  • 외교적으로 안정적인 정국 유지

제14대 헌종(1094–1095)

  • 선종의 아들
  • 단명한 왕

제15대 숙종(1095–1105)

  • 헌종의 동생
  • 화폐 정책, 개혁 추진

제16대 예종(1105–1122)

  • 숙종의 아들
  • 학문과 예술 장려, 국자감 강화

제17대 인종(1122–1146)

  • 예종의 아들
  • 왕권 강화 시도, 이자겸의 난 발생

제18대 의종(1146–1170)

  • 인종의 아들
  • 무신정변(1170년)으로 폐위, 무신정권 시작

제19대 명종(1170–1197)

  • 의종의 동생
  • 무신정권 시기, 실권은 최씨정권이 장악

제20대 신종(1197–1204)

  • 명종의 아들
  • 외척인 최충헌에 의해 옹립됨

제21대 희종(1204–1211)

  • 신종의 아들
  • 최충헌과 갈등으로 퇴위

제22대 강종(1211–1213)

  • 희종의 동생
  • 최충헌의 꼭두각시 왕

제23대 고종(1213–1259)

  • 강종의 아들
  • 몽골 침입기, 강화도 천도(1232년), 대몽 항쟁의 중심

제24대 원종(1259–1274)

  • 고종의 아들
  • 몽골과의 화친 체결, 고려-원 관계 시작

제25대 충렬왕(1274–1308)

  • 원종의 아들
  • 원나라와의 협력 체제 강화

제26대 충선왕(1298, 1308–1313)

  • 충렬왕의 아들
  • 일시 퇴위 후 복위, 개혁 추진

제27대 충숙왕(1313–1330, 1332–1339)

  • 충선왕의 아들
  • 두 차례 왕위에 오름, 원나라 파견 빈번

제28대 충혜왕(1330–1332, 1339–1344)

  • 충숙왕의 아들
  • 두 차례 즉위, 사치와 문란한 정치로 비판

제29대 충목왕(1344–1348)

  • 충혜왕의 아들
  • 짧은 치세, 개혁 의지

제30대 충정왕(1349–1351)

  • 충목왕의 동생
  • 원나라 간섭 강화기

제31대 공민왕(1351–1374)

  • 충숙왕의 손자
  • 반원 정책, 신진사대부 육성, 개혁의 대표자

제32대 우왕(1374–1388)

  • 공민왕의 아들
  •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에게 권한 상실

제33대 창왕(1388–1389)

  • 우왕의 아들
  • 짧은 재위, 명나라와 갈등

제34대 공양왕(1389–1392)

  • 창왕의 삼촌
  • 고려 최후의 왕, 이성계에 의해 폐위 후 조선 건국

고려 왕조 계보도 핵심 요약

  • 태조 왕건을 시작으로 총 34명의 왕이 고려를 통치
  • 광종: 고려식 왕권 강화와 개혁의 시작
  • 문종-예종-인종: 고려의 학문과 문화가 가장 번영한 시기
  • 무신정권(1170~1270): 형식적 왕권 유지, 최씨 무신정권 실질 지배
  • 몽골 간섭기(1259~1351): 원나라 간섭 아래 ‘충’자 왕명 사용
  • 공민왕: 반원 자주 정책 추진, 고려 후기 개혁의 중심 인물
  • 우왕-창왕-공양왕: 왕권 약화와 조선 건국으로 이어지는 과도기

고려왕조 가계도 정리 (주요 계보 연결 요약)

  • 태조 왕건
    • 혜종, 정종, 광종 (직계 아들들)
      • 광종 → 경종 → 성종 → 목종 → 현종
        • 현종 → 덕종, 정종(2), 문종 → 순종, 선종, 숙종
          • 숙종 → 예종 → 인종 → 의종, 명종, 신종 → 희종, 강종, 고종
            • 고종 → 원종 → 충렬왕 → 충선왕 → 충숙왕 → 충혜왕 → 충목왕 → 충정왕
              • 공민왕 → 우왕 → 창왕 → 공양왕

결론

고려왕조는 약 500년 가까이 한반도를 지배하며 독자적인 문화, 정치, 외교 체계를 구축했던 역사적인 왕조였습니다. 왕권의 강약, 외세의 간섭, 무신정권과 같은 내부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고려는 고려청자, 금속활자, 팔만대장경, 과거제도 등 후대 조선에까지 영향을 끼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. 각 왕들의 즉위 배경과 치세는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며, 그 속에서 고려는 불교와 유교, 문치와 무치, 자주와 간섭 사이에서 복잡하게 움직였던 왕조였습니다.


키워드: 고려왕조, 고려왕 계보, 고려 가계도, 고려 왕 순서, 태조 왕건, 공민왕, 무신정권, 몽골 간섭기, 고려 최후의 왕, 고려 건국